배너

Interview

사랑주의자의 이야기, 서머 솔트(Summer Salt)

 

여름과 소금이 만나면, 무슨 연유에서인지 사랑이 폴폴 풍겨져 나온다. 밴드 서머 솔트(Summer Salt)의 노래에 깃든 사랑의 근원을 찾아서, 이들의 마음을 들여다보기로 했다.

 

 

1. [RSK] 서머 솔트(Summer Salt)의 음악에는 1960년대 팝, 보사노바, 재즈의 감성이 담겨 있어서 여름을 상상하게 하죠. 실제로도 여름이라는 계절을 좋아하나요?

 

유진 정(보컬, 드럼)네, 저는 여름을 정말 좋아하고, 우리 모두 여름이라는 계절을 굉장히 좋아해요. 수영도 좋아하고, 낚시, 캠핑도 즐기고, 여름 활동을 전부 다 좋아하죠.

 

매튜 테리(보컬, 기타): 정말 그래요. 겨울엔 좀 답답함을 느끼다가 여름이 오면, ‘아, 우리가 여름을 이렇게 좋아했지’ 하고 다시 떠올라요. 그리고 여름이 끝날 즈음엔 가을을 맞이할 준비도 되죠. 캠핑도 그렇고, 그 계절만의 즐거움이 있잖아요.

 

 

2. [RSK] 서머 솔트의 음악과 가장 잘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여름 휴가지를 꼽는다면 어디일까요?

 

유진: 답이 다 다를 수도 있는데, 저는 언젠가 꼭 제주도에 가보고 싶어요. 다들 하와이나 인도네시아 발리도 정말 좋아하죠.

 

윈스턴 트리올로(보컬, 베이스): 저는 아마 하와이요.

 

앤서니 바넷(보컬, 기타): 저는 바하마요. 자급자족해야 하는 외딴 해변 같은 곳이요…

 

유진: 야생 속으로?

 

앤서니: 오두막도 직접 지어야 하고요.

 

유진: 그럼 하와이로 하죠. 하와이 가자!

 

 

3. [RSK] 방금 말한 곳으로 휴가를 간다면, 캐리어에 꼭 챙겨갈 것들은?

 

유진: 저는 일단 세면도구 가방은 꼭 챙겨야 하고요, 수영복도요... 다른 멤버들은요?

 

매튜: 비디오 게임기, 스케치북이랑 색연필들….

 

유진: 기타….

 

매튜: 기타, 그리고 작은 핸디 레코더요.

 

 

4. [RSK] ‘서머 솔트’라는 이름은 계절과 조미료의 조합이기도 해요. 팀명을 정할 때 다른 후보 명이나, 농담처럼만 말하다 못 쓴 이름도 있었나요?

 

매튜: 사실 웃긴 얘기인데, 그땐 멤버가 한 명 더 있었고, 수염이 엄청 빨갛던 친구였어요. 저희가 원피스를 정말 좋아하거든요. 해적 이야기잖아요. 그래서 농담 반 진담 반으로 “Red Beard(빨간 수염)”을 밴드명으로 하자고 했었어요. 근데 그건 2초 만에 버렸죠.

 

유진: 다른 이름을 진지하게 고민한 건 그때가 처음이자 마지막이었어요.

 

매튜: 저랑 유진은 “Chato y Gato”, “Chato y Gamba” 같은 이름도 생각했었는데… Gamba가 새우 맞죠?

 

유진: 고양이랑 새우 조합이었죠.

 

 

5. [RSK] 이름을 한국어로 바꾸면 ‘여름 소금’이 되네요. 팀명을 한국어로 들으면 어떤 장면이 떠오르나요?

 

유진: 저는 해변이든 언덕과 산이 있는 시골이든, 어딘가의 노을 풍경이 떠올라요.

 

 

6. [RSK] 유진은 미국에서 자라며, 한국계 미국인이라는 점을 항상 소중히 여겨왔다고 전했는데요. 한국 무대에 설 때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도 궁금해요.

 

유진: 저는 항상 한국계 미국인이라는 점을 소중히 여겨왔고, 미국에서 다른 한국계 미국인을 만나면 늘 어떤 친근함과 공통된 무언가가 느껴졌어요. 비슷한 환경에서 자라왔다는 점에서 공감이 생기거든요. 제가 한국인이라는 점이 항상 자랑스럽고, 앞으로 제 뿌리를 더 탐구하고 배우고 싶어요.

 

 

7. [RSK] 근황 얘기로 넘어가 볼게요. 최근 발매한 싱글 <Tell Me>, <Smile (괜찮을 거야)>와 이번 투어 포스터 아트워크 모두 화투패를 연상시키는데요. 이러한 요소를 사용하게 된 계기가 궁금했어요.

 

유진: 부모님과 조부모님이 화투를 치시는 걸 늘 봐왔고, 어릴 때부터 화투패에 굉장히 매료됐어요. 그 그림들이 정말 멋지다고 느꼈거든요. 그래서 다음 앨범에서는 이 화투의 감각을 아트워크에 담아보고 싶었어요. 싱글과 앨범에 나올 모든 곡이 각각의 화투 패와 어울리도록 만들 계획이고, 여러분께 보여드릴 생각에 기대됩니다!

 

 

8. [RSK] <Smile (괜찮을 거야)>는 <In The AM>에 이어 두 번째 한국어 곡이에요. 지난 번과 비교해 보면 작업 과정은 비슷했을까요? 

 

유진: <In The AM>은 원래 매튜가 쓴 곡인데, 그 곡에 새로운 벌스를 넣고 싶다고 해서 제가 써보겠다고 했어요. 그때 매튜가 한국어로 가사를 써보라고 제안해서 그렇게 작업하게 됐죠. <Smile (괜찮을 거야)>도 비슷하게 처음에는 영어로 작업했지만, 매튜가 저에게 용기를 줘서 한국어로 된 버전을 만들 수 있었어요.

 

 

9. [RSK] <Smile (괜찮을 거야)>는 연주하고 부르는 입장에서는 어떤 재미가 있는 곡인지도 궁금해요.

 

윈스턴: 경쾌하고 유쾌하고요. 긍정적인 기분이 드는 곡이죠.

 

매튜: 리듬감도 있고, 각자 멤버가 자기 파트를 맡아 돋보일 수 있는 구조라서 연주하는 재미가 있어요. 유진이 멜로디카를 연주하거나 윈스턴이 라이브 드럼을 치는 등 각자의 순간이 있거든요.

 

 

10. [RSK] 결국엔 사랑이 치유해 준다는 내용이에요. 사랑은 다른 말로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유진: ‘따뜻함’ 그리고 ‘치유’가 떠올라요.

 

매튜: 이 곡에도 ‘사랑이 모든 것을 치유한다’라는 메시지가 담겨있어요.

 

앤서니: 사랑이 답이다.

 

매튜: 맞아요. 사랑에도 다양한 관계에서 다양한 양상을 띄잖아요. 짝사랑, 부모님, 친구, 연인 등… 결국 사랑이 모든 것의 답인것 같아요.

 

윈스턴: 누군가를 진심으로 아끼는 마음!

 

매튜: 무조건적으로요. 그게 선택이든 뭐든 간에.

 

 

11. [RSK] <Smile (괜찮을 거야)>를 비롯한 서머 솔트 곡의 본질은 불안하고 지친 존재에게 컴포트존을 제공한다는 것에 있는 것 같아요. 위안, 편안함, 안식의 메시지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매튜: 아마도 우리 자신이 느끼는 불안이나 감정들을 음악을 통해 해소하려는 시도일 거예요. 음악은 자신을 진정시키는 좋은 도구고, 우리가 겪고 있는 일들을 마주하고 정리하는 방식이기도 하죠. 우리가 만든 음악이 다른 사람에게도 위로가 될 수 있다면, 나만 그런 게 아니라는 걸 알게 되는 것만으로도 큰 힘이 되잖아요. 불안감뿐만 아니라, 우리가 겪을 수 있는 다른 많은 감정이나, 피곤함 같은 감정들도요.

 

 

12. [RSK] (인터뷰일 기준) 한국 공연이 곧이네요. 이번 무대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연출이나 깜짝 요소가 있다면 살짝 힌트 부탁드립니다.

 

매튜: <Smile (괜찮을 거야)>를 꼭 라이브로 보여드리고 싶어요.

 

유진: 멤버들이 악기를 서로 바꾸는 '그랜드 스위치'가 있을 예정이에요. 또, 특별한 악기 서프라이즈도 준비돼 있어요.

 

매튜: 지난번 한국에 왔을 때 <In the AM>을 연주했고, 이번엔 <Smile (괜찮을 거야)>를 연주하니까, 앞으로는 올 때마다 새로운 곡을 준비해야겠다고 생각 중이에요.

 

 

13. [RSK] 라이브 공연과 작업실에서의 창작, 두 세계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유지하시나요? 투어 중 영감을 지속하는 방법도 궁금합니다.

 

윈스턴: 오히려 투어 중에 더 영감을 많이 받을 때가 있어요. 항상 음악에 몰입돼 있고 서로 가까이 있으니까요.

 

유진: 맞아요. 서로 곁에 있으면서 훨씬 빠르게 아이디어를 주고받을 수 있죠.

 

매튜: 투어를 하다 보면, 우리가 하는 일이 단순한 소모가 아니라는 걸 깨닫게 돼요. 사람들에게 정말 의미가 있는 일이라는 걸요. 그것만으로도 계속 나아갈 수 있는 영감이 돼요.

 

 

14. [RSK] 시간을 과거로 돌려서, 2022년의 앨범 [The Juniper Songbook] 이야기도 해보고 싶어요. 기존 곡들을 ‘Juniper Version’으로 편곡해 담은 앨범인데요, ‘Juniper Version’이라는 이름에 담긴 의미는 무엇일까요?

 

매튜: 그 앨범은 콜로라도에 있는 처음 가보는 스튜디오에서 녹음했어요. 주니퍼 베리는 콜로라도 자생 식물이고, 그래서 그 지역명을 따서 'Juniper Songbook'이라 이름 붙였죠. 나중엔 다른 지역에서도 녹음하고 그 지역 이름을 따서 또 다른 시리즈를 만들면 재밌겠다고 생각했어요. 예를 들면 보사노바 버전, 전자 버전 등….

 

유진: 제주도에서 녹음해서 ‘귤 Songbook’을 만들 수도 있겠네요.

 

매튜: 귤 Songbook. 그거 멋지겠다!

 

 

15. [RSK] 그 앨범에서 <One Last Time>의 Juniper Version을 특히 좋아해요. 이 곡을 편곡할 때는 어떤 점을 중점에 두셨나요?

 

유진: 실제 라이브 버전에 더 가깝게 만들고 싶었어요. 팬들이 특히 좋아하는 곡이라, 새로운 기술을 활용해서 더 웅장하게 재해석하고 싶었죠.

 

매튜: 어떻게 연주하고 녹음하는지, 그 방식 자체가 그 감성을 살리는 데 중요한 요소였어요.

 

 

16. [RSK] <One Last Time>을 포함해 기존 곡을 재해석할 때, 원곡의 포인트를 유지하는 Summer Salt만의 기준이 있나요?

 

유진: 원곡에 대한 팬들의 애정이 크기 때문에, 그 감성을 존중하는 게 우리에겐 중요해요. <Driving to Hawaii>가 올해 10주년이기도 했고요.

 

매튜: 그 부분이 늘 뮤지션들의 애로사항인것 같아요. 음악가로서 늘 ‘더 잘하고 싶다’는 욕심이 있는데, 가끔은 스스로에게 ‘예전에 만든 것도 충분히 멋지다’라고 되새겨야 해요. 그게 우리가 최근에 배우고 있는 중요한 포인트예요.

 

 

17. [RSK] 한 인터뷰에서 “정체성을 과하게 다듬으면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잃는다”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생각을 하게 된 계기와, ‘자연스러운 불완전함’을 유지하기 위해 하는 노력이 궁금해요.

 

앤서니: 그냥 작업 자체를 재밌게 하려는 게 핵심이에요. 뭔가를 처음 만들 때와 그 일에 대한 설렘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 완성했을 때쯤 그 설렘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거죠. 언제든 돌아가서 계속해서 다시 만들면서 완벽을 향해 노력할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저는 창작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처음 뭔가를 만들었을 때 "와, 멋지다!"라고 느끼는 그 감정을 느끼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냥 그 느낌에 가까워지려고 노력하는 거죠.

 

매튜: 요즘은 기술로 무결점에 가까운 결과물을 만들 수 있는 시대라, 오히려 일부러 원테이크로 녹음하는 연습을 해요. 비치보이스의 브라이언 윌슨이 그랬던 것처럼요. 그게 진짜 내 모습이고, 불완전함이야말로 매력이라고 생각해요.

 

유진: 맞아요. 오히려 그런 불완전함이 팬들이 가장 좋아하는 부분일 수도 있죠.

 

윈스턴: 좋은 질문이에요!

 

 

18. [RSK] 이제 마무리로, 한국 음식 중 하나를 골라 서머 솔트의 앨범 제목으로 붙인다면 무엇이 될까요?

 

매튜: 김밥이요. 이름 자체가 딱 귀에 꽂히는 느낌이에요.

 

유진: 저희 엄마가 미국 투어 떠나기 전에 꼭 김밥을 싸주시거든요. 그래서 팀 전체가 공감할 수 있는 음식이에요.

 

윈스턴: 그거 롤 처럼 말아져 있는 밥이죠?

 

앤서니: 진짜, 너무 맛있어요.

 

 

19. [RSK] 서머 솔트의 음악은 햇빛이 쨍한 해변에서 주스를 마시는 느낌을 줍니다. 긴장도 풀리고 기분도 좋아지죠. 음악을 제외하고 여러분이 즐겨 쓰는 기분 관리법은 무엇인가요?

 

앤서니: 밖에 나가서 몸을 움직이고, 건강하게 먹고, 새로운 걸 시도해 보는 거요.

 

유진: 사랑하는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거나, 혼자만의 시간을 갖는 것도요.

 

윈스턴: 내가 좋아하는 일에 몰두하고, 매일 조금씩 발전하려고 노력하는 게 도움이 돼요.

 

매튜: 저도 비슷해요. 혼자 게임을 하거나 산책하면서 현실을 잠시 벗어나는 것도 좋아해요.

 

유진: 우리 모두 비슷한 답이네.(웃음) 고마워요, 롤링스톤 코리아!

 

 

 

Photographs by Andrew Reiner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