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Menu

Read Next 서울에서 마주한 맥스

가나다순보기

TV Review

HOME TV Review

2021-05-20

‘없음’으로 구축된 드라마월드, 김순옥의 <펜트하우스>(SBS, 2021)

By. ROLLINGSTONE KOREA

//www.youtube.com/embed/?wmode=opaque&rel=0&loop=0&autoplay=0

“막장, 복수, 자극, 폭력, 선정성” 김순옥은 늘 한결같았다. 임성한의 후계자라고 불리던 그가 막장의 최전선에 서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던 만큼 한국 드라마는 많은 굴곡을 겪어왔다. 50여년 동안 안방극장을 지키던 지상파 채널은 쇠락하고 영원할 것만 같았던 막장드라마는 빠르게 몰락했다. 이런 상황에서 귀환한 김순옥의 세계는 더욱 커졌으며 더욱 빨라졌다. 수많은 막장의 대모들이 소리없이 사라질 때도 끝까지 막장을 지켰던 김순옥은 2021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정점에 다다른 것처럼 보인다.

한국 드라마의 역사에서 막장을 논한다는 것은 길고 긴 기록을 들춰내는 것과도 동일한 행위이다. 1969년 <개구리남편>(MBC, 1969~1971)은 당시 민영방송국이었던 MBC에서 파격적으로 편성해 인기를 끌었던 불륜드라마였다. 아내와 신입사원을 오가며 사랑을 나누는 유부남 과장을 물과 뭍에서 개구리에 비유한 이 드라마는 당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지만 비도덕적이라는 조기종영을 당한다. <개구리 남편> 이후 김수현의 등장은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드라마의 이미지가 만들어진 ‘이벤트’였다. 자신을 미혼모로 만들고 떠나버린 남자에게 끝내 복수하는 여성의 이야기를 다룬 <청춘의 덫>(MBC, 1978)은 소재의 자극성과 함께 남성 중심 사회에 대한 윤리적 도전을 지향한다는 이유로 강도 높은 조기종영의 수모를 겪게 된다. 

막장드라마는 2000년대의 임성한에 이르러 비로소 장르로서의 정체성을 구축하게 된다. 불륜, 복수, 고부갈등 등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를 넘어 빙의, 돌연사, 맥락없는 리빙센스까지 임성한은 상상 속에서 존재하던 이미지를 드라마 내부로 이동시켜 여과 없는 재현을 가능케 했다. 사람들이 임성한의 막장을 좋아했던 것은 아마도 서사 없이 나열되는 키치한 이미지들의 세계에 매혹되어 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2010년대 새로운 K-드라마가 오기까지 40여년에 가까운 시간동안 막장은 한국 드라마의 가장 중요한 축을 지탱해왔음을 부정할 수 없다.

막장이라는 한국 특유의 장르적 지평이 구축되기까지 김순옥의 이름이 지닌 무게는 결코 가볍지 않다. 기억해야할 것은 김순옥이 창조한 가상세계가 현실과 드라마를 오가며 수많은 참조점을 디디고 있다는 사실이다. <SKY캐슬>(JTBC, 2018~2019)이 의과대학으로 대변했던 계급사회의 잔영을 <펜트하우스>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여기에 부동산이라는 속물적 욕망을 김순옥은 서울의 중심 삼성동, 그 중에서도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헤라 팰리스로 구현해낸다. 수직으로 정렬된 한국 사회를 직접적으로 현시하는 고층빌딩에서 원주민들은 연극적으로 삶을 연기하며 살아간다. 도저히 집이라고 부를 수 없는 펜트하우스의 공간 속에서 폐쇄적인 커뮤니티를 유지하는 상류층의 삶을 드라마로 전시하는 김순옥의 전략은 막장 특유의 단절된 세계를 한층 넓혀가는 계기를 만들어냈다. 

김순옥의 세계를 지탱하는 것은 단연 ‘없음’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사회의 빈 공간, 분명 존재하지만 언어로 담아낼 수 없는 것을 드라마화시키는 김순옥의 탁월한 필력은 막장의 장르적 지평을 아득히 확장시켰다. 폭력과 복수, 음모로 가득 찬 막장의 세계에서 생존해야만 하는 인물들에게 공정한 기회는 사치에 가깝다. 이 공백을 기어코 드라마화해내는 김순옥의 힘은 TV의 종언이 눈 앞으로 다가온 지금 그만이 구현해낼 수 있는 K-드라마월드인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헤라 팰리스의 인물들이 벌이는 생존게임이야말로 <펜트하우스>가 가진 미덕이다. 최소한의 현실성과 합리성조차 결여된 채 오로지 즉각적인 감정을 반복적으로 배설하는 김순옥월드는 아이와 어른의 경계조차 희미해진 이 생존의 공간이야말로 막장이 한국사회에 되묻는 윤리적 질문에 가깝기 때문이다. 

이렇듯 김순옥이 <펜트하우스>를 통해 창조해낸 세계는 <SKY캐슬>과 상당부분 닮아있는 것처럼 보인다. 두 드라마에서 어른들은 자신들이 만들어낸 세계를 지키기 위해 아이들을 계속해서 사회의 상층부로 밀어낸다. 의과대학에서 예술고등학교로 무대가 바뀌었을 뿐 권력의 수직관계에서 나오는 파열음이 드라마의 주 테마라는 점은 변함없다. 오히려 예술이 자본과 권력에 의해서 지탱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생각하면 <펜트하우스>는 <SKY캐슬>보다 한층 더 깊게 나아간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헤라 팰리스의 아이들은 자신의 재능과 사회에서의 성공이 동일한 선상에 놓여있지 않음을 정확히 알고 있다. 오히려 이 사회의 시스템이 자신들을 공고한 위치에 놓아줄 것을 의심치 않는다. 때문에 헤라 팰리스의 아이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자본과 권력을 지키는 방법을 본능적으로 체득하고 있다. 말하자면 아이들은 헤라 팰리스의 자식들이자 동업자이다. 이들에게 팰리스의 외부 배로나(김현수)와 민설아(조수민)는 폭력을 정당하게 행사할 수 있는 존재일 따름이다. 이들에 대한 폭력과 괴롭힘은 팰리스의 일상이며 아이들이 자신을 지키기 위해 선택해야만 하는 생존기술이다. 

문제가 있다면 어른들과 구분되지 않는 아이들의 세계가 정신적 외상(Trauma)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서진(김소연)의 기대를 이루어낼 재능이 없는 은별(최예빈), 단태의 학대에 노출된 석훈(김영대)과 석경(한지현)은 타인과 정상적인 관계맺기가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마치 애초에 성장 따위는 필요없다는 듯이 행동하는 아이들은 자본과 권력을 얻는 방법이 인간적인 성장과 관계맺기에 기반하고 있지 않음을 역설적으로 증명해낸다.

이런 현상은 헤라 팰리스의 아이들에게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로나와 민설아에게 재능은 자신의 약점을 극복하게 해줄 무기에 가깝다. 자신의 재능을 지키는 것이 곧 초고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유일한 기회임을 알고 있던 배로나와 민설아는 이 재능을 두고 팰리스의 아이들과 힘겨운 싸움을 벌이는 한편 어른들과 거래를 시도한다. 배로나와 민설아에게 부모의 안위보다, 자신의 목숨보다 소중한 것은 팰리스에 입성하게 만들어줄 재능뿐이다. 에피소드가 거듭될수록 재능을 무기삼아 팰리스의 어른들과 거래를 시도하는 아이들은 비로소 어른들과 동등한 동업자의 위치에 서게 된다. 

<펜트하우스>의 아이들이 벌이는 위험한 거래는 <인간수업>(Netflix, 2020)에서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친구들을 쾌락과 위험으로 몰아넣었던 지수(김동희)와 규리(박주현)를 떠올리게 한다. 앞이 보이지 않는 불투명한 현실에서 자신의 재능과 자본을 어른들과 거래하는 아이들의 출현은 지금 여기에서 정의를 묻는 것이 얼마나 덧없는 것인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 죄책감과 양심에서 자유로운 아이들에게 용기를 복돋는 존재는 단연 팰리스의 어른들이다. 자신을 위해 완벽하게 세팅된 세계를 쌓아가는 주단태(엄기준)과 천서희(김소연)부터 펜트하우스의 질서에 스스로를 위탁한 이규진(봉태규)과 하윤철(윤종훈)에 이르기까지 이들은 자본과 권력이 자신의 세계를 공고히 지켜줄 것이라는 믿음을 버리지 못 한다. 

이들에게 삶은 놀이다. 부동산 투자도, 결혼도, 살인도 이들에게는 그저 삶의 무료함을 달래줄 이벤트에 가깝다. 팰리스의 세 남자가 마치 아이들이 무리를 지어 무료한 시간을 보내는 듯한 시퀀스의 반복은 투기와 범죄조차 이들에게는 지루한 시간을 보내기 위한 재미있는 놀이에 가깝다. 배로나를 지키기 위한 윤희(유진)의 몸부림도, 이사장이 되기 위해 음모를 꾸미는 천서진도, 아이를 잃은 수련(이지아)의 복수도 끊임없이 반전을 만들기 위해 반복적으로 수행한다는 점에서 아이들의 놀이와 한없이 가까워진다. 

<펜트하우스>에 살아가는 어른들의 사랑과 복수에 관한 놀이적 구성은 김순옥월드를 구성하는 핵심과도 같다. 이 세계에서 어른들은 자신의 성장을 증명하거나 성숙함을 내세우지 않는다. 민설아가 헤라상에 추락하여 사망하던 날 우스꽝스러운 파티복을 입고 연극하듯 시체를 처리하는 어른들은 성장을 거부한 아이들의 소꿉놀이처럼 보일 뿐이다. <펜트하우스>가 비정상적일정도로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이면에는 시청자들 역시 이들의 과장되고 희화화된 삶을 지켜보는 것만으로 김순옥이 설계한 ‘놀이’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순옥이 구축하고 시청자들이 지탱하던 팰리스가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믿음은 순진하다. 비밀과 반전, 죽음과 부활이 무작위하게 뒤섞이며 혼란 속으로 달려가는 <펜트하우스>는 당연하게도 장르적 한계에서 다다른 것처럼 보인다. 의미 없는 거래와 놀이를 반복하던 <펜트하우스>가 시즌2에서 피로감을 호소하는 시청자들의 피드백에 직면하게 된 것도 자극과 선정성만으로 이 세계의 지속이 불가능하다는 신호이기도 하다.

<아내의 유혹>에서부터 공고하게 유지되어온 김순옥월드는 늘 그렇듯이 복수와 처벌의 경계선을 넘나들며 자신을 지켜왔다. 김순옥이 그토록 지켜오던 막장의 세계는 TV의 종말을 눈 앞에 둔 2021년의 한국에서 자극적일지언정 새로운 콘텐츠가 되기에는 어렵다. 그가 드라마의 전통적인 작법을 파격적으로 붕괴시키면서 일구어낸 세계는 유희의 반복 이상의 어떠한 의미도 남기지 않고 스스로 생성과 붕괴를 반복할 뿐이다. 때문에 이 자기파괴적인 세계가 지속될 것이라는 믿음만큼 순진한 믿음은 또 없을 것이다.

<사진 제공 - 초록뱀>

Drama World Constructed Upon ‘Void’, Kim Soon-ok’s Penthouse (SBS, 2021)


Makjang’, (meaning the last chapter, a metaphor for a person or a situation in which it can’t get any worse) revenge, provocation, violence, sensationalism,” Kim Soon-ok stayed ever unchanging. Korean dramas have experienced many ups and downs, just as it took Kim, often called Lim Sung-han’s successor, a long time to be standing on the front line of the ‘makjang’ genre. The terrestrial channels, which had been guarding the small screen for more than 50 years, declined and the ‘makjang’ dramas which had seemed would last forever, quickly collaps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returning world of Kim Soon-ok became bigger and faster. Even when many godmothers of the genre disappeared silently, Kim Soon-ok, who kept with it until the end, seems to have reached her peak only in 2021.

Discussing ‘makjang’ in the history of Korean dramas is the same as uncovering its long record. Frog Husband (MBC, 1969-1971) was a popular drama in 1969 about an affair and was aired on MBC, which was a commercial broadcasting station at the time. The drama, which compared the married supervisor who was having an affair with a new employee to a frog in and out of the water, was explosive in its popularity but was prematurely forced to end, as it was immoral. The appearance of Kim Soo-hyun after Frog Husband was the “event” where the image of the drama we think of today was created. Youth Trap (MBC, 1978), which tells the story of a woman who eventually retaliates against the man who had left her as a single mother, suffered a forced, premature end as it ethically challenged the male-centered society along with the acridity of the content matter.

It was not until the 2000s and the appearance of Im Sung-han when ‘makjang’ dramas began to build their identity as a genre. Beyond realistic problems such as infidelity, revenge, and conflict among the in-laws, Lim Sung-han introduced the images existing only in one’s imagination in her dramas, such as spiritual possession and sudden death, without censorship. Viewers liked Im’s ‘makjang’ probably because they were fascinated by the world full of lined-up kitsch images without a proper narrative. For nearly 40 years until the arrival of the new K-drama in the 2010s, it is undeniable that the ‘makjang’ dramas have sustained the most important axis of Korean drama.

The weight of the name Kim Soon-ok in the establishment of the unique horizon of the Korean genre was never light.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virtual world created by Kim draws upon numerous references to reality and drama. This is why it is not difficult to find the remnants of the class society, that SKY Castle (JTBC, 2018-2019) represented as a medical school, in Penthouse. On top of that, Kim embodies the materialistic desire for real estate as Hera Palace, located on the highest grounds among Samseong-dong, the center of Seoul. The skyscraper directly illustrates the vertically organized Korean society, in it, the natives live their lives theatrically. Kim’s strategy, which displays the lives of the upper class who maintain a closed-off community in the penthouse that cannot possibly be called a home, has created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uniquely disconnected world of ‘makjang’.

It is definitely the concept of ‘absence’ that is at the foundation of Kim Soon-ok’s world. Kim Soon-ok’s outstanding penmanship which dramatized the voids of the Korean society – something which clearly exists but cannot be captured by language – has greatly expanded the horizon of ‘makjang’ as a genre. Fair opportunities are a luxury for those who must survive in a world full of violence, revenge, and conspiracy. Kim’s power of dramatizing this void may be the K-drama world which now she can only realize that the end of the TV era is just around the corner. In this regard, the survival game played by the characters living in Hera Palace is a virtue of Penthouse. Kim’s world, in where they repeatedly excrete immediate emotions without minimum filtering of reality and rationality, and where even the boundarie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have faded, is more of an ethical question that ‘makjang’ is asking back to the Korean society.

As such, the world created by Kim Soon-ok through Penthouse seems to resemble that of SKY Castle. In the two dramas, adults continue to push the children up to higher grounds on the pyramid of society to protect the world they have created. The stage has changed from a medical school to a fine art high school, but the fact that the plosive of the vertical power relationship is the main theme of the drama remains the same. Rather,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art is bound to be supported by capital and power, Penthouse is a work that has gone further than SKY Castle.

The children of Hera Palace know exactly well that their talents and success in society are not on the same line. Rather, they do not doubt that the system of this society will put themselves in a steadier position. Therefore, the children of Hera Palace are instinctively learning how to protect their capital and power. The children, so to speak, are also partners of the Hera Palace as well as its children. For them, the outsiders, Bae Ro-na (Kim Hyun-soo) and Min Seol-ah (Jo Soo-min) are justifications of their violence. Violence and harassment against them is a routine and a survival skill that children must choose in order to protect themselves.

If there is a problem, it is that the world of the children which is not distinguished from the adults’ is made up of trauma. Eun-byul (Choi Ye-bin), who has no talent to achieve Seo-jin’s (Kim So-yean) expectations, and Seok-hoon (Kim Young-dae) and Seok-kyung (Han Ji-hyun), who were exposed to Dan-tae’s abuse, seem impossible to have a normal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children who act as if they don’t need personal growth in the first place, paradoxically prove that the way one gains capital and power is not based on personal growth and making relationships.

This phenomenon is not limited to the children in Hera Palace. For Bae Ro-na and Min Seol-ah, talent is more of a weapon that will help them overcome their weaknesses. Knowing that protecting one’s talent is their only chance to go to the top floors, they try to make deals with the adults while fighting tough battles with the children in the Palace over their talents. For the two, the only thing more precious than their parents’ safety and their own lives is their talent that will allow them to enter the Palace. As the show goes on, the children who try and make deals with the adults using their talents as weapons are finally placed on the same ground as the adults.

The dangerous deals made by the children in Penthouse remind the viewers of Ji-soo (Kim Dong-hee) and Gyu-ri (Park Ju-hyun) in Extracurricular (Netflix, 2020), who lead their friends onto a path of pleasure and danger to achieve their dreams. The emergence of children trading their talents and capital with the adults even when their own future is vague, clearly shows how fleeting it is to ask for justice here and now.

Above all, it is the adults of the Palace who encourage these children free of guilt and conscience. From Joo Dan-tae (Um Ki-joon) and Chun Seo-hee (Kim So-yeon), who are building their perfectly set world, to Lee Kyu-jin (Bong Tae-kyu) and Ha Yoon-chul (Yoon Jong-hoon), who entrusted themselves to the rules and order of the penthouse, they all cannot give up their faith that capital and power will firmly protect their world.

For them, life is but a game. Real estate investments, marriage, and murder are more of an event that will ease the boredom of life for them. The repetition of a sequence of three men in the Palace spending their free time in groups, as if children would, shows how even speculative investments and crimes are treated as fun games for them to kill boring time. Yoon-hee’s struggle to protect Bae Ro-na, Chun Seo-jin who conspires to become the chairman of the board, and Soo-ryeon’s (Lee Ji-ah) revenge for losing her child, are all also constantly repeated to create a twist in the plot, which makes it endlessly more like a child’s play.

The playful composition of adult characters’ love and revenge is the core of the Kim Soon-ok world. In this world, adults do not demonstrate their growth or show maturity. On the day Min Seol-ah fell to the statue of Hera and died, adults who dressed up in funny party dresses disposed of the body as if they were characters in a play. It only looked like role-playing of children who had refused to grow up. Behind the abnormal syndrome of Penthouse is that viewers are also participating in the ‘game’ designed by Kim Soon-ok simply by watching their exaggerated and comic lives.

However, it is naïve to believe that the Palace, built by Kim and supported by the viewers, can be carried on. Penthouse, which is running toward a chaotic mix of secrets, twists, death, and resurrection, seems natural to have reached limitations as a genre. The fact that Penthouse, which had repeated meaningless deals and games, faced viewer feedback that complained of fatigue in season 2, is also a sign that this world cannot continue only with its stimulation and sensationalism.

 

Kim Soon-ok world, which has been firmly maintained since Temptation of Wife, has protected itself by freely crossing the line of revenge and punishment as usual. The crazy world that Kim has been so protective of, cannot become a new content to Korea in 2021 when the end of the TV era is just around the corner, even if the content matter is stimulating. The world she has created through unconventionally collapsing the traditional composition of a drama, only repeats its own creation and demolition without leaving any meaning beyond the repetition of game-like actions. Therefore, there will be no more naïve belief than the belief that this self-destructive world will contin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