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News

김윤아 단독 콘서트 ‘행복한 사랑은 없네’ 성료!

김윤아가 단독 콘서트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지난 6월 23일부터 7월 2일까지 서울 연세대학교 백주년기념관 콘서트홀에서 열린 단독 콘서트 ‘행복한 사랑은 없네’가 6일간 5,000여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김윤아는 직접 번역한 ‘루이 아라공(Louis Aragon)’의 시 ‘행복한 사랑은 없네’를 읊은 후 동명의 곡을 첫 곡으로 공연의 서막을 열었다. 이어 ‘행복한 사랑은 없다’는 사랑론에 대해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공연을 이어갔다.

 

김윤아는 ‘가끔씩’, ‘비밀의 정원’에 이어 ‘담’, ‘Tango of 2’를 부르며 솔로 아티스트로서 특유의 아우라를 드러냈다. 그리고 ‘유리’와 ‘안녕’, ‘얼음 공주’와 ‘나는 위험한 사랑을 상상한다’, ‘도쿄 블루스’, ‘미저리’에 이르기까지 “행복한 사랑은 없다”는 것을 강하게 주장하듯 모순적이고도 아름다운 이야기들을 하나씩 풀어놓았다.

 

콘서트 중반에 이르러 ‘세상의 끝’과 ‘Regrets’, ‘Melancholia’로 반환점을 돈 후 ‘이상한 이야기’로 관객의 시선을 전환했다.

 

‘Summer garden’, ‘증오는 나의 힘’을 거치며 개인의 가정사를 언급한 김윤아는 “나는 내 마음을 모르는 사람이기에 진짜 내 마음의 이야기를 할 수 없지만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빌린다면 가능하다”고 말하며 김윤아가 참여했던 OST ‘붉은 꽃그늘 아래서’와 ‘고독한 항해’를 통해 인간 본연의 쓸쓸함과 존재의 괴로움을 전했다.

 

김윤아가 “제가 원하고 기다렸던 사랑은 이런 게 아니었다”는 이야기로 분위기를 환기시킨 후 단촐한 편성으로 덤덤하게 노래한 ‘봄이 오면’과 피아노와 현악기가 주도권을 넘겨받은 ‘야상곡’은 이번 공연의 백미라 할 만했다.

 

마지막으로 김윤아는 “진정한 사랑은 상상하지도 못했던 곳에서 왔다. 그것은 아주 작지만 크고, 햇살처럼 따뜻한 존재였다. 나를 있는 그대로 바라봐주는 진정한 사랑이었다”고 고백하며 자녀에 대한 사랑을 언급했다. “마침내 찾은 ‘진정한 사랑’이 사라질 까봐 두려웠다. 사실 지금도 두렵다. 언젠가 내가 이 아이를 두고 먼저 세상을 떠나야 한다는 사실도, 아이가 나를 먼저 떠난다는 상상만으로도”라는 멘트에 이어 ‘키리에’와 ‘강’을 부른 후 관객에게 인사하고 무대에서 퇴장했다.

 

관객들의 끊이지 않는 박수갈채 속에 다시 무대로 등장한 김윤아는 ‘Girl Talk’을 부르며 앵콜 무대를 이어갔다. 끝으로 김윤아는 “당신이 ‘행복한 사랑은 없다’는 ‘루이 아라공’과 제 의견에 동의하시든 아니든 상관없다. 우리는 그저 지나가는 바람처럼, 떨어지는 꽃잎처럼 찰나의 존재지만, 어느 짧은 순간에 당신이 행복하길 바란다”는 멘트와 함께 ‘봄날은 간다’를 열창하며 여운이 가득한 마지막 무대를 선사했다.

 

사랑이 주는 행복과 모순된 불행을 이야기하며 관객들에게 진정한 사랑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한 김윤아는 앞으로도 활발한 솔로 활동과 자우림 활동을 병행해 나갈 예정이다.

<사진제공 - 
인터파크 엔터테인먼트>

배너
배너